Web Vital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
Web Vital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
Web Vitals는 구글에서 웹사이트 성능의 핵심 지표를 정의한 것이다. 이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경험하는 중요한 측면을 측정하고, 웹 페이지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준다. Web Vitals에는 LCP(Largest Contentful Paint), FID(First Input Delay), CLS(Cumulative Layout Shift)와 같은 주요 지표가 포함된다.
1. LCP (Largest Contentful Paint) 개선 방안
LCP는 페이지에서 가장 큰 콘텐츠(이미지, 텍스트 블록 등)가 로드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.. 이상적으로 2.5초 이내에 로드되어야 한다.
개선 방안
- 서버 성능 향상: 서버 응답 시간을 줄이기 위해 서버 성능을 최적화하거나 CDN(Content Delivery Network)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더 가까운 서버에서 제공하게 한다.
- 크리티컬 리소스 최적화: 중요한 콘텐츠를 우선 로드하도록 리소스를 최적화한다. 특히 페이지에서 큰 이미지나 비디오가 있을 경우, 이를 미리 로드하거나 지연 로딩(Lazy loading)을 사용할 수 있다.
- 이미지 최적화: 이미지 파일 크기를 줄이고, WebP 형식 등 최신 포맷을 사용하여 로딩 시간을 단축한다.
- CSS, JavaScript 최적화: 불필요한 CSS나 JavaScript를 제거하고, 번들 크기를 줄여 페이지 렌더링 속도를 높인다.
- HTTP/2 및 HTTP/3 사용: 최신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리소스가 더 빠르게 로드된다.
2. FID (First Input Delay) 개선 방안
FID는 사용자가 페이지에서 처음 상호작용(클릭, 탭 등)을 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. 이상적으로 100ms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.
개선 방안:
- JavaScript 최적화: 페이지에서 실행되는 JavaScript 코드가 차단적인 작업을 하지 않도록 최적화한다. 긴 JavaScript 실행을 분리하거나 비동기적으로 처리하여 인터랙티브한 응답성을 개선한다.
- 웹 워커(Web Worker) 사용: 주요 UI 스레드에서 JavaScript의 실행을 분리하여 페이지 상호작용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한다.
- 렌더링 차단 리소스 최소화: CSS나 JavaScript가 렌더링을 차단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페이지가 더 빨리 반응하도록 한다.
3. CLS (Cumulative Layout Shift) 개선 방안
CLS는 페이지 로딩 중 레이아웃이 예기치 않게 이동하는 정도를 측정한다. 페이지에서 콘텐츠가 안정적으로 로드되는 것이 중요하며, 이 값은 0.1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.
개선 방안:
- 크기 지정: 이미지, 비디오, 광고, iframe 등과 같은 리소스에 명확한 너비와 높이를 지정하여 페이지 로딩 중 레이아웃 이동을 방지한다.
- 폰트 로딩 최적화: 웹 폰트를 로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레이아웃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font-display: swap 또는 font-display: optional을 사용한다.
- 비동기적 콘텐츠 로딩: 비동기적으로 로딩되는 광고나 콘텐츠가 페이지 레이아웃을 변경하지 않도록 하여, 페이지의 안정성을 유지한다.
4. General Web Vitals 개선 방안
- Lazy Loading 적용: 이미지와 비디오 등 큰 리소스는 lazy loading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필요로 할 때만 로드되도록 한다. 이는 초기 페이지 로딩 성능을 향상시킨다.
- 리소스 압축: 이미지, CSS, JavaScript 등을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이고 로딩 속도를 향상시킨다.
- Critical CSS: 중요한 CSS만 페이지가 로드될 때 미리 적용하고, 나머지 CSS는 비동기적으로 로드하여 페이지 렌더링을 가속화한다.
- 스크립트 비동기화 및 지연 로딩: JavaScript는 가능한 한 비동기적으로 로드하고, 렌더링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여 페이지가 더 빠르게 로드될 수 있도록 한다.
5. 모바일 최적화
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성능이 더욱 중요한데, Web Vitals 지표를 개선하려면 모바일 최적화가 필수이다.
- 반응형 디자인 적용: 화면 크기에 맞게 레이아웃을 조정하여 모바일에서 페이지가 더 빠르게 렌더링되도록 한다.
- 서버리스 아키텍처 또는 CDN 사용: 서버 위치가 사용자와 가까울수록 더 빠르게 페이지가 로드되므로 CDN(Content Delivery Network)을 활용하여 성능을 높일 수 있다.
결론
Web Vitals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평가하고 최적화하는 중요한 지표이다. LCP, FID, CLS와 같은 지표를 개선하려면 서버 성능 최적화, 이미지 최적화, JavaScript 최적화, 비동기 로딩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. 이러한 최적화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, 웹사이트의 전반적인 성능을 높일 수 있다.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